(1) 십이지지와 12개월
십이지지는 다음과 같이 사계절 및 열두 방위를 형성한다. 명리학은 계절학이라 할 수 있을 만큼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각 계절마다 오행의 역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계절 그 자체가 되는 월주의 지지는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하더라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봄(春) - 寅卯辰 - 동
여름(夏) - 巳午未 - 남
가을(秋) - 申酉戌 - 서
겨울(冬) - 亥子丑 - 북
하나의 사주명식에서 본인에 해당하는 일간의 모습은 태어난 달의 월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계절이 주는 의미는 매우 특별할 수밖에 없다. 갑목을 예로 들면, 봄에 태어난 갑목은 한참 자라나고 있는 나무가 되고, 여름에 태어난 갑목은 성장을 멈추고 꽃을 피워야 하는 나무가 되며, 가을에 태어난 나무는 열매를 맺어야 하는 나무가 되고, 겨울에 태어난 나무는 씨앗을 남긴 후 베어져서 목재로 쓰여야 할 나무가 되는 것이다.
① 寅卯辰 - 봄
24절기상 입춘에서 입하까지의 시기를 봄이라고 한다. 봄은 오행의 속성상 목의 기운에 해당하고 방위적으로는 동쪽을 담당한다.
인월(寅月)은 음력1월로 입춘일로부터 시작된다. 입춘의 절입일은 대부분 만세력의 윗부분에 표시되어 있고, 입춘일 이전은 축월에 해당하고 입춘일이 되고부터 인월이 되기 때문에 만세력을 참고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인목(寅木)은 오행상 양목(陽木)의 기운에 해당하고, 천간의 갑목이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될 때는 인목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천간이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될 때는 순일한 한가지 기운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몇가지의 기운이 뭉쳐진 형태로 드러나게 된다. 즉, 몇종류의 천간이 합쳐져서 하나의 지지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지지에 감춰진 천간이라고 해서 지장간(支藏干)이라고 하고, 절입후 30일동안 순차적으로 해당하는 달을 지배하는 기운인 월률분야와는 비슷하면서도 조금은 다른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표시한 월률분야와 지장간은 한번씩 눈에 익히는 정도로만 보고 지나가도록 하자.
월률분야 : 戊7 丙7 甲16
지장간 : 戊 丙 甲
묘월(卯月)은 음력2월로 경칩일로부터 시작된다. 묘목(卯木)는 오행상 음목(陰木)의 기운에 해당하고, 천간의 을목(乙木)이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될 때 묘목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월률분야 : 甲10 乙20
지장간 : 乙
진월(辰月)은 음력3월로 청명일로부터 시작된다. 진월은 인월, 묘월과 함께 봄을 이루는 방위에 위치해 있지만 봄의 기운인 목기를 가진 것이 아니라 토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즉, 봄 기운 그 자체가 아니라 봄에 발을 딛고 서서 봄의 기운을 여름의 기운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월률분야 : 乙9 癸3 戊18
지장간 : 乙 癸 戊
진토(辰土)는 양토(陽土)로 인묘(寅卯)와 무리를 지을 때는 목의 기운으로 작용하지만, 신자(申子)와 무리를 지을 때는 수의 기운으로 작용한다.
② 巳午未 - 여름
24절기상 입하에서 입추까지의 시기를 여름이라고 한다. 여름은 오행의 속성상 화의 기운에 해당하고 방위적으로는 남쪽을 담당한다.
사월(巳月)은 음력4월로 입하일로부터 시작된다. 사화는 오행상 양화(陽火)의 기운을 담당하고, 천간의 병화(丙火)가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되면 사화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월률분야 : 戊7 庚7 丙16
지장간 : 戊 庚 丙
오월(午月)은 음력5월로 망종일로부터 시작된다. 오화는 오행상 음화(陰火)의 기운에 해당하고, 천간의 정화(丁火)가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되면 오화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월률분야 : 丙10 己10 丁10
지장간 : 己 丁
미월(未月)은 음력6월로 소서일로부터 시작된다. 미월도 진월과 마찬가지로 여름의 방위에 속해있지만 목의 기운을 가진 것이 아니라 토의 기운을 갖고 있다. 여름에 발을 딛고 서서 사오(巳午)라는 여름의 기운을 신유(申酉)라는 가을의 기운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월률분야 : 丁9 乙3 己18
지장간 : 丁 乙 己
미토는 음토(陰土)로 사오(巳午)와 무리를 지을 때는 화의 기운으로 작용하지만, 해묘(亥卯)와 무리를 지을 때는 목의 기운으로 작용한다.
③ 申酉戌 - 가을
24절기상 입추에서 입동까지의 시기를 가을이라고 한다. 가을은 오행의 속성상 금의 기운에 해당하고 방위적으로는 서쪽을 담당한다.
신월(申月)은 음력7월로 입추일로부터 시작된다. 신금은 오행상 양금(陽金)에 해당하고, 천간의 경금(庚金)이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되면 신금의 형태로 구체화된다.
월률분야 : 戊7 壬7 庚16
지장간 : 戊 壬 庚
유월(酉月)은 음력8월로 백로일로부터 시작된다. 유금은 오행상 음금(陰金)에 해당하고, 천간의 신금(辛金)이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되면 유금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월률분야 : 庚10 辛20
지장간 : 辛
술월(戌月)은 음력9월로 한로일로부터 시작된다. 술월 또한 신유(申酉)와 함께 가을의 방위에 속해 있지만, 금의 기운이 아니라 토의 기운을 갖고 있다. 가을에 발을 딛고 서서 신유(申酉)라는 가을 기운을 해자(亥子)라는 겨울 기운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월률분야 : 辛9 丁3 戊18
지장간 : 辛 丁 戊
술토는 양토로 신유(申酉)와 무리지을 때는 금의 기운으로 작용하지만, 인오(寅午)와 무리를 지을 때는 화의 기운으로 작용한다.
④ 亥子丑 - 겨울
24절기상 입동에서 입춘까지의 시기를 겨울이라고 한다. 겨울은 오행의 속성상 수의 기운에 해당하고 방위적으로는 북쪽을 담당한다.
해월(亥月)은 음력10월로 입동일로부터 시작된다. 해수는 오행상 양수에 해당하고, 천간의 임수(壬水)가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될 때 해수의 형태로 나타난다.
월률분야 : 戊7 甲7 壬16
지장간 : 甲 壬
자월(子月)은 음력11월로 대설일로부터 시작된다. 자수는 오행상 음수에 해당하고, 천간의 계수(癸水)가 지지로 내려와 물상화되면 자수의 형태로 나타난다.
월률분야 : 壬10 癸20
지장간 : 癸
축월(丑月)은 음력12월로 소한일로부터 시작된다. 축월은 해자(亥子)와 함께 겨울의 방위에 속해 있지만, 수의 기운이 아니라 수의 기운을 내포한 토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 즉, 겨울에 발을 딛고 서서 해자(亥子)의 겨울 기운을 인묘(寅卯)의 봄 기운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월률분야 : 癸9 辛3 己18
지장간 : 癸 辛 己
축토는 해자(亥子)와 무리지을 때는 수의 기운으로 작용하고, 사유(巳酉)와 무리를 지을 때는 금의 기운으로 작용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