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십천간4 2-4. 에너지의 상호작용 - 십천간 : 조절과 균형을 유지하는 에너지 무기 토 토는 우주의 섭리를 집행하는 두 에너지인 수와 화의 에너지를 조절하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토의 작용이 없으면 화는 끝없이 퍼져나가려고 하고, 수는 끝없이 응축되려고 하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천체에서는 지구, 자연에서는 땅이 대표적으로 토의 역할을 수행한다. (3) 戊己 - 土 토는 양기를 음기로 전환시키기 위해 조절기능을 담당하는 기운이다. 화와 금은 서로 상극에 해당하는 기운이기 때문에 화의 단계에서 금의 단계로 곧장 넘어갈 수 없다. 화의 강렬한 빛과 뜨거운 열기는 금을 태워버리고도 남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자연의 섭리는 화의 단계에서 금의 단계로 넘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장치를 만들어냈고, 한동석의 ‘우주변화의 원리’ 속에서는 이 과정을 ‘금화.. 2022. 6. 21. 2-3. 에너지의 상호작용 - 십천간 : 확산하는 빛과 열의 에너지 병정 화 화는 우주를 추동하는 수와 화, 양대 에너지 중의 하나로 확산하고 퍼져나가는 기능을 한다. 우주를 형성하는 시공의 두 기둥 중에서 시간을 담당하고, 잡아주는 힘이 없으면 끝없이 퍼져나간다. 화는 빛과 열이라는 두 가지 작용을 통해 드러난다. (2) 丙丁 - 火 화는 순수한 양기 속에서 퍼져나가는 기운이다. 순일한 기운 속에 있다는 것은 잡아주거나 밀어줄 필요가 없다는 말과 같다. 병화가 화의 체에 해당한다는 말은 퍼져나가는 기운 그 자체라는 뜻이고, 정화가 화의 용에 해당한다는 말은 병화의 퍼져나가는 기운이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구체적인 쓰임새를 갖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물상으로 봐서 병화가 강렬한 빛이라면 정화는 그 빛으로 합성된 뜨거운 열기가 된다. 빛이 강렬할수록 열기도 뜨거워진다. 병화의 퍼져나가.. 2022. 6. 19. 2-2. 에너지의 상호작용 - 십천간 : 생명을 대변하는 에너지 갑을 목 오행의 선두이자 십천간의 서두에는 목이 온다. 목은 오행의 에너지를 촉발시키는 에너지이자 오행 중에서 유일하게 생명을 대변하는 에너지이다. 천간의 목은 목의 체에 해당하는 양목 갑(甲)과 목의 용에 해당하는 음목 을(乙)로 나뉜다. (1) 甲乙 - 木 목은 음기 속에서 양기를 향해 솟구치는 기운이다. 즉, 기운이 반은 음기 속에 있고 나머지 기운의 반은 양기 속에 있으면서 운동의 시작점이 음기 속이다. 갑목이 양기 속으로 뛰쳐나와야 모든 운동이 시작된다. 실질적으로 갑목이 양기 속으로 솟구쳐 올랐다는 것은 운동의 시작점인 음기 속에서 이미 운동이 시작되어서 그 결과가 갑목의 솟구침으로 드러났다는 의미가 된다. 갑목이 목의 체에 해당한다는 말은 솟구치는 기운 그 자체라는 뜻이고, 을목이 목의 용에 해당한다.. 2022. 6. 18. 2-1. 에너지의 상호작용 - 십천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음양오행에서 우주의 에너지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하늘 위에서 작용하는 십천간, 또 다른 하나는 땅에서 작용하는 십이지지의 에너지가 그것이다. 십천간과 십이지지는 자체의 에너지 특성에 따라 순환하면서 동시에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하늘의 에너지 십천간의 종류와 특성부터 살펴보자. 제2장. 에너지의 상호작용 1. 십천간 천간(天干)이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10가지로 십간(十干)이라 하고, 지지(地支)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12가지로 십이지지(十二地支)라고 일컫는다. 천간지지를 간략하게 간지(干支)라고 하는데, 실제 우리가 사주명리를 배운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 스물두자의 간지를 읽는 방법을 배운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주명리학을 다른 말로 간.. 2022. 6.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