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 2-8. 땅에 작용하는 하늘의 힘 십이지지 - 십이지지와 12개월 (1) 십이지지와 12개월 십이지지는 다음과 같이 사계절 및 열두 방위를 형성한다. 명리학은 계절학이라 할 수 있을 만큼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각 계절마다 오행의 역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계절 그 자체가 되는 월주의 지지는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하더라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봄(春) - 寅卯辰 - 동 여름(夏) - 巳午未 - 남 가을(秋) - 申酉戌 - 서 겨울(冬) - 亥子丑 - 북 하나의 사주명식에서 본인에 해당하는 일간의 모습은 태어난 달의 월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계절이 주는 의미는 매우 특별할 수밖에 없다. 갑목을 예로 들면, 봄에 태어난 갑목은 한참 자라나고 있는 나무가 되고, 여름에 태어난 갑목은 성장을 멈추고 꽃을 피워야 하는 나무가.. 2022. 8. 7. 2-7. 땅에 작용하는 하늘의 힘 십이지지 -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십이지지는 하늘에서 작용하는 우주의 힘이 지구라는 땅에 내려와 계절적, 방위적으로 섞인 에너지 형태를 말한다. 하늘의 힘이 어떤 것으로도 바뀔 수 있는 변화를 담고 있다면, 땅의 힘은 하늘의 기운이 상당 부분 물질화되고 고착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땅위의 생명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2. 십이지지(十二地支) 지지는 우주적인 오행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와 물상과 결합하여 자리잡은 형태의 에너지를 말한다. 천간에 비해 에너지의 작용이 고정적이고 집합적이며, 이미 방위적으로 자리를 잡고 계절적인 세력으로 구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바뀌지 않는다. 이질적인 에너지와 부딪혔을 때 섞이기보다는 강한 압력을 발생시키거나 충돌해서 상호간에 파괴적인 손상을 불러일으킨다. 그런 이유로 지지도 일반.. 2022. 7. 7. 2-6. 에너지의 상호작용 - 십천간 : 응축하게 하는 어둠과 물의 에너지 임계 수 수 기운은 우주를 운행하는 음양 두 기운을 대표하는 화와 수 중에서 한 축을 담당하는 핵심 에너지이다. 우주에 한 기운이 있다면 그것은 수 기운이고, 수 기운 중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양기를 얻어 화 기운이 되면 비로소 우주가 운행하게 된다. 수 기운은 화 기운이 분산시켜놓은 에너지를 다시 한 점으로 응축시키는 역할을 하고, 대표적인 물상으로 어둠과 물을 상징한다. (5) 壬癸 - 水 수는 금행의 단계에서 일차적으로 수렴된 음기를 응축시켜 엑기스의 형태로 만드는 기운이다. 금행의 단계에서 넘겨받은 음기는 내부에 농축된 양기, 즉 생명의 불씨가 담겨있는 음기이다. 이 생명의 불씨가 끊임없이 모습을 바꿔가면서 오행의 과정을 순환하는 주인공이다. 임수는 금행의 단계에서 넘겨받은 음기를 응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 2022. 7. 3. 2-5. 에너지의 상호작용 - 십천간 : 끌어당기고 뭉치는 에너지 경신 금 금기운은 우주의 두 축에 해당하는 수와 화 에너지 사이에서 목과 함께 다리 역할을 한다. 목이 수에서 화로 넘어가는 기운이라면, 금은 화에서 수로 넘어가는 기운이다. 끝없이 퍼져나가려고 하는 화의 에너지를 끌어당기고 뭉쳐서 대략적인 형체를 만드는 에너지가 바로 경신 금에 해당한다. (4) 庚辛 - 金 금은 양기 속에서 음기를 향해 끌어내리는 기운이다. 즉, 기운의 반은 양기 속에 있고, 나머지 기운의 반은 음기 속에 있으면서 운동의 시작점이 양기 속이다. 경금이 금행 운동의 시작점인 양기 속에 있을 때 신금은 금행 운동의 끝지점인 음기 속에 있다. 경금은 팽배해 있는 양기 속에서 꼭 필요한 양기만을 선별하여 남기고 모두 떨쳐내 버린다. 그래서 경금의 기운을 알곡만 남기고 쭉정이를 죽이는 기운, 숙살지기(.. 2022. 6. 23.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