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 1-6. 음양오행기초 - 운동의 다섯 단계 (1) 오행(五行)이란 음양의 운동이 공간적인 측면에서 기적(氣的) 특성이 보다 강한 운동인 것에 비해, 오행의 운동은 시간적인 측면에서 질적(質的) 특성이 보다 더 강한 운동이다. 기적 특성이 강하다고 하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이고 근원적인 관점에서 음양운동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고, 질적 특성이 강하다고 하는 것은 눈에 보이고 손으로 만져지는 물상의 이미지 속에서 오행의 운동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다. 물론 질적 특성이 드러나기 위해서는 먼저 기적 작용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오행의 움직임은 음양의 운동 속에서 관찰되어야 한다. 원론적으로 말하면, 지극히 양적(陽的)인 기운을 화(火)라 하고, 지극히 음적(陰的)인 기운을 수(水)라고 하며, 음적인 기운으로부터 양적인 기운을 향해 가는 기운을 목(木).. 2022. 5. 12. 1-5. 음양오행기초 - 음양이란(1) 음양론과 오행론은 고대 동양에서 세상과 우주를 이해하던 세계관이다. 음양론은 상당히 포괄적으로 느껴지는 개념이지만 자세히 들어가면 매우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다. 모든 것을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토대로 작용하기 때문에 명리학 공부에 있어서 음양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5. 음양이란 음양론은 동양철학의 핵심이자 동양의 학문에서 만법의 진리를 규명하는 궁극의 잣대를 제공하고 있다. 그만큼 음양론은 명리학을 비롯한 동양의 술수들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문제는 음양론을 이해하는 게 쉽지가 않을뿐더러 그 이해의 방법이나 과정 등이 매우 자의적이기 때문에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식의 해석이 난무하고 있다는 점이다. 세상과 우주를 사유하는 방식으로서 음양의 논리는 ‘상대적인 개념.. 2022. 5. 7. 1-5. 음양오행기초 - 음양이란(2) (3) 음양의 구분 ○ 음양을 구분할 때는 음양의 느낌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두 대상을 비교할 때 음적인 느낌이 강하면 음에 가깝고, 양적인 느낌이 강하다면 양에 가깝다고 보면 될 것이다. ○ 음양의 느낌 양 : 밝음, 뜨거움, 건조함, 비가시적, 즉흥적, 역동적, 종적, 빠름, 위쪽, .... 음 : 어둠, 차가움, 축축함, 가시적, 꾸준함, 수동적, 횡적, 느림, 아래쪽, .... 양 : 퍼져나감, 산만함, 팽창력, 부드러움, 비어감, 원심력, 발산, 공격적, ... 음 : 끌어당김, 편안함, 응집력, 단단함, 굳어져감, 구심력, 수렴, 방어적, ... ○ 위의 기준에 의거하여 음양을 세분화하여 표시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양 : 천, 천간, 정신, 아버지, 남편, 남자, 불, 일(日), 낮, .. 2022. 5. 7. 1-4. 음양오행기초 - 천문현상과 24절기 명리학은 천문현상과 24절기를 토대로 인간이 각 계절에 맞춰 살아갈 때 필요한 조건을 갖추었느냐를 따짐으로써 운명을 예측한다. 그렇기 때문에 천문과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사주를 절기학이라고 부르기까지 한다. 4. 천문현상과 24절기 천문현상이 지구상의 생명체, 그 중에서도 우리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대할 수밖에 없다. 태양은 지구를 향해 빛과 열을 내보내고, 달은 지구의 물을 움직여 한류와 난류가 섞이게 만든다. 태양의 빛과 열이 없다면 지구상에는 생명이 존재할 수 없고, 달의 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생명의 근원인 바다에 조수간만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옛사람들은 태양과 달, 그리고 지구 인근의 다섯 행성들을 칠정(七政)이라고 불렀고, 칠정을 비롯한 수많은 하늘의 별들이 인간의 삶.. 2022. 5. 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